본문 바로가기
일상다반사

아마존 FBA로 1년 만에 연매출 4억 5천 만들고도 폐업한 이유

by 주처돌_크리스(INTJ) 2023. 2. 26.

경력 : 1년
브랜드를 만들지 않고 현존하는 제품들을 도매가에 구매하여 아마존 FBA로 판매함(AMZ resale)


1) 지나친 가격 경쟁

- 같은 품목이라면 다수의 판매자들을 묶어서 하나의 판매채널로 통일
- 다수 판매자들은 only 가격 경쟁밖에 차별화가 안됨 (박리다메 제 살깍기 경쟁)
- 매일, 매시간, 매분마다 판매 가격이 바뀜 (제품들의 매입시기와 판매시기의 물건가격이 상이할 수 있음)
- 가격 안정성이 매우 낮고, 이를 통제 하는건 대부분 아마존임
- 95%의 소비자들은 최저가 제품 또는 아마존에서 지정하는 buy-box 가격으로 구매
- 아마존 직접 당해 제품채널에 셀러로 등장하는 경우, 최저 판매가보다 50% 정도 싼 가격으로 떨이 처리 하는 경우도 많음.
- 아마존 셀러로 등장하는 경우, 아마존 측 재고량은 개인 판매자들의 양보다 훨씬 많기 때문에, 아마존 물건들이 다 팔릴때까지 기다리거나, 울며 겨자먹기로 아마존 가격과 동일하게 판매해서 처리해야됨.
- 아마존 내에서 판매 순위가 높을 경우, 도매가 보다 싸게 파는 경우들도 많이 생김


2) Copy right

- 아마존 웹사이트 내에서 판매허가 떨어진 제품이라 할지라도, 제품 제조사 측과 협의가 되지 않는다면, 제작자 측에서 저작권 및 상표권 관련 소송들을 제기함
- 분쟁 발생하면, 아마존은 즉각 제품들의 판매 금지 처분을 요청하고, 아마존 warehouse 에 있는 물품들을 판매자 측에 리턴 시키거나 폐기처분
- 이때 발생하는 소송 및 배송, 리턴 비용도 모두 판매자 책임
- 대량으로 도매업체에서 물건을 매입한 업체는 판매하지 못하는 물건들을 처리할 마땅한 루트가 없음


3) 아마존 warehouse로 물건 배송시 부대 비용

- 아마존 가입비, 배송비, 아마존 warehouse 보관비등이 있음
- 판매 업체는 아마존에서 요구하는 규격, 방식등에 맞추어 포장을 해서 아마존에 보내야 하며, 이때 아마존이 요구하는 바코드 스티커와 배송 송달 invoice도 함께 붙여 있어야 함.
- 일반적으로 포장하고 배송하는 인건비를 제외 하더라도, 테이프, 1 박스당 약 $4, 배송비 약$10, 포장비용 case by case등 부대 비용 만만치 않음
- 고체나 액체 등 물질의 상태 및 제품의 종류, 무게, 크기, 강도, 거리등에 따라 비용 천차만별
- 물건의 파손등의 사유로 구매자가 물건을 리턴해야 한 경우, 전적으로 판매자가  비용 부담
- 물건을 많이 보낼 경우 Amazon warehouse fee가 높기 때문에 판매 속도를 예측해서 적당히 양을 조절해서 보내야함(너무 적게 보내면 물건이 없어서 못파는 경우들도 있을 수 있음)


4) 유통기한

-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른 유통기한을 적용하기 때문에 ware house 배송 전 체크 해야함
- 예를 들어 과자 같은 경우, 아마존 warehouse 배송 전 기준 대략 9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은 남아 있어야하며, 유통기한 2개월 이내에 판매완료되지 않는 경우, 전부 파기되거나 리턴함.


5) Amazon ungate

- 아마존측에서 판매를 허가해주지 않으면, 제품 판매 불가능
- 판매 허가 여부는 비슷한 제품군의 판매량과 업력, 기간, 자금등을 기준으로 하나씩 하나씩 수락해주며, 인기가 많은 품목들을 판매할 수 있는 허가를 받기까지 1년이상 걸리는 경우들도 많음
- 처음 판매를 시작한 경우, 제품들의 ungate를 위해서, 반드시 certified seller에게서 물건 매입해서 아마존에서 판매해야 함
- certified seller들에게서 매입하는 경우, 소비자 가격과 별반 차이가 없어서 부대비용 포함하면 손해인 경우가 많음.
- 돈 주고 nike나 아이다스 등 특정 브랜드의 ungate 만 전문적으로 해주는 업체가 많음
- nike + adidas ungate = 대략 $400


6) 창고 비용

- 도매업체들에서 제품들을 아마존의 조건에 맞추어 개별 포장을 하거나 invoice tag등을 붙여서 직접 아마존에 배송해 주지 않음
- 따라서 판매자는 어딘가로 도매 물건들을 배송 받아 작업할 공간 필요
- 대부분의 아마존 셀러들은 아마존 warehouse fee를 제외하고도, 개인 창고를 렌트해서 사용하여야 하며 보통 이때 창고 한달 렌트 비용이 $200~500 정도는 소요
- 대부분의 창고들은 전기 콘센트가 없기 때문에, 창고로 출발 전에 인보이스 및 모든 paper work는 마무리 해야 함


7) 노동 인력

- 누군가는 아이템 선정부터 계약 주문 배송 포장등 모든 일련의 과정을 해야 하는데, 물건이 많아지면 개인이 끌어낼 수 있는 노동 시간, 인력등 한계가 와서 사람을 고용해야함
- 매일 종일 포장 및 배송만 해도 생각보다 개인이 출고 할 수 있는 양은 많지 않음


장점

- 불특정 다수의 수많은 아마존 이용자들에게 물건을 판매 할수 있음
-  upfront cost가 없어서 적은 비용으로도 사업시작이 가능함

단점

- 가격이 매우 불안정하고, 대부분 판매자가 조정할 수 없고 강제적 조정을 당함
- 다수의 판매자들과의 가격 경쟁도 과열상태인데, 아마존이 랜덤하게 판매에 동참하여 판매가를 반정도로 깍아버림.
- resale의 경우, 제조업체와 계약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, 저작권 문제 항상 발생 가능
- 약이나 음식등의 경우 유통기한 문제는 반드시 발생함
- 아마존 측에서 ungate를 해주지 않는 경우, 제품 판매는 불가능하며, 여러 품목군이 ungate 될때까지 오랜시간이 걸림
- 창고 비용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, 보통 창고 계약은 몇달단위 이기 때문에, 생각보다 부담이 됨
- 혼자서 끌어낼 수 있는 노동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, 결국 사람을 고용해야 하며, 이 비용도 만만치 않음

 

 

느낀점

- 대형 자판기 운영한다고 생각하면 될듯.

- 유통기한에 물건에 다 내가 관리하고 정리해야하지만, 한가지 다른점은 가격도 내가 내마음대로 정할 수 없음...

- 너무 빠삭하게 잘 알게 됬지만, 다시 할지는 모르겠다...

'일상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격투기의 세대교체 신호탄...  (0) 2023.02.27
Merch by Amazon 경험담  (0) 2023.02.26
직접 해본 Uber 경험담  (0) 2023.02.26
친미=애국, 친중=종북 프레임에 갇힌 한국...  (0) 2023.02.26
Flitto 경험담...  (0) 2023.02.26

댓글